Boma Pak:
Ritual of Matter
박보마: 물질의 의식

25 July - 24 December, 2023
Leeum Museum of Art, Seoul
website
performance

리움미술관은 미술관 공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차세대 국내 작가를 조명하는 ‘공간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박보마(b.1988)의 《물질의 의식》을 선보입니다. 박보마는 드로잉과 오브제, 우발적인 행위와 향 등 다양한 매체와 다중적인 정체성을 경유하여 빛이나 공기처럼 가변적인 물질과 여성적 혹은 부차적으로 취급되는 존재를 위한 자리를 만드는 작가입니다. 《물질의 의식》은 휴게 공간인 로비 ROOM을 가상 회사의 리셉션 공간으로 연출하여 미술관의 틈새 공간을 감각적인 무대로 전환하고, 관객의 공감각적 체험을 도모합니다.

통상적인 회사와 달리 박보마의 가상 회사 Sophie Etulips Xylang Co.,는 잠시 존재했다가 사라지는 빛과 인상에 불과합니다. 고층 빌딩에서 볼 수 있는 대형 유리 파사드와 대리석같이 위엄을 드러내는 자재는 이곳에서 한층 가볍고 하찮은 물질로 대체됩니다. 임원진의 초상은 이름도 얼굴도 없는 실루엣에 불과하며, 그 주위 산발적으로 배치된 오브제는 망각의 영역으로 밀려난 존재를 애도합니다. 미세하게 떨리는 벽의 진동, 은은하게 스미는 향과 공중을 누비는 모호한 사운드는 발언권이 없는 가변적인 물질을 주요 등장인물로 내세웁니다. 이처럼 반전된 회사에서 치르는 물질의 의식(ritual of matter)은 시장체제에서 무가치하다고 치부된 물질이 오히려 풍성한 존재감을 드러내도록 합니다. 

《물질의 의식》이 영위하는 공간은 저마다의 목적지로 발을 옮기기 전 관객이 잠시 머무는 중간적인 영역입니다. 이곳에 펼쳐진 물질은 영구히 보존될 가치를 증명하지 못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증발하듯 사라질 운명입니다. 하지만 이처럼 덧없는 물질에 헌정된 의식은 ‘진짜’라고 인정받은 것과 인정받지 못한 것을 구별하는 가치 체제에 균열을 내고, 시각중심주의적인 전시 관례에 도전하는 미러링 혹은 반전의 시도입니다. 일시적으로나마 이 공간을 경험하는 일은 쉽게 소비되고 폐기되는 이미지와 순식간에 떠오르고 사라지는 심상에 헌정된 의식에 참여하는 행위가 됩니다.

전시 개막 주간에 진행하는 퍼포먼스 〈오페라: 하늘색 무한 카논〉은 물질의 의식을 미술관 로비 공간으로 확장합니다. 이 공연은 퍼포머가 매개하는 정념, 망각된 물질을 애도하는 소리, 미술관 안팎을 돌보는 직원의 행위로 로비를 재조직하여 견고한 것과 흐르는 것이 구별 없이 서로 공명하는 상태를 연출합니다.

*박보마(b.1988, 서울). 주요 개인전으로는 《자비: 페인팅과 물질들 19xx-2022》(2022, YPC SPACE, 서울), 《Sophie Etulips Xylang Co.,》(2021, 웹사이트), 《유리 에메랄드 프리오픈, 화이트의 가짜 노력》(2017, 아카이브 봄, 서울) 등이 있으며, 단체전 《즐겁게! 기쁘게!》(2023, 아트선재센터, 서울), 《Defense...》(2020, d/p, 서울), 《Shame on You》(2017, 두산갤러리 뉴욕), 《실키 네이비 스킨》(2016, 인사미술공간, 서울) 등에 참여했다.

Leeum Museum of Art presents Ritual of Matter, a work by Boma Pak (b. 1988), as a part of an ongoing project to rediscover the spaces within the museum and to highlight the works of emerging Korean artists. Spanning drawings, objects, spontaneous gestures, and scent, among others, and operating through multiple artistic identities, Boma Pak navigates and advocates for vulnerability of material, as well as marginalized and/or feminine beings. Transformed into a reception area of a fictitious company, ROOM - the lobby’s lounge - becomes a temporary stage for synesthetic experience.

Pak’s company, Sophie Etulips Xylang Co., is nothing more than reflections of light and fleeting impressions. Here, elements of grandeur, such as large glass facades and marble, frequently used in skyscrapers of large corporations, are replaced with light and frivolous materials like plastic sheets and acrylic. Portraits of the executives are mere silhouettes, unnamed and faceless against a sporadic array of objects that mourn the identities, or the lack thereof, of beings swept away into the abyss of oblivion. Faint vibration across the wall, a fading scent, and ambiguous sounds present vulnerable matter as the main characters of this fictional setting instead. This ritual of matter centered on a corporation with a twist accentuates the potential of material beings that are conventionally considered futile in a market-driven world. 

The work sits in an intermediary space where the museum’s visitors stay only momentarily before heading to their respective destinations. The material presence Pak brings to the in-between stage is destined to disappear in due time as it lacks the rights to stay or be preserved. The ritual dedicated to such ephemerality undermines the value system that strictly separates the real from the fake, and encourages institutional consciousness by challenging the ocularcentrism and devotion to permanence that lies underneath their usual practice. To spend time here, albeit for a little while, implicates one to the celebration of images and impressions - easily consumed, forgotten, and discarded.

The performance Opera: Sky Blue Infinitus Canon takes place during opening week, celebrating the presence of “matter” and extending the ritual into the museum’s lobby. The performance saturates the lobby with the passion mediated by the performers, sounds that mourn repressed beings, and the presence of the museum caretakers, turning the space into a stage where the perpetual and ephemeral switch places, interweave, and reconcile.

*Boma Pak (b.1988, Seoul). Pak’s solo exhibitions include Mercy: Painting and Matters 19XX-2022 (2022, YPC SPACE, Seoul), Sophie Etulips Xylang Co,, (2021, online), Pre-opening Glass Emerald, The False Sacrifice of White (2017, Archive Bomm, Seoul). She has participated in group shows including Living in Joy (2023, Art Sonje Center, Seoul), Defense… (2020, d/p, Seoul), Shame on You (2017, Doosan Gallery New York), Silky Navy Skin (2016, Insa Art Center, Seoul) among others.

Previous
Previous

바다가 집이라면, 향수병은 다름 아닌 멀미

Next
Next

Hyunjung Park: Emerald Tab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