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Sollee Solo Exhibition
김솔이 개인전

5 September - 1 October, 2023
YPC SPACE, Seoul

여섯 여자가 있다.[1] 이 여자들은 거짓말을 하고, 외형을 바꾸고, 미끼를 던지고, 질투하고, 주변인을 기꺼이 배신한다. 이들은 부정형이나 대리물로써 정립되며, 혐오스럽거나 하찮은 감정의 화신으로 다뤄진다. 김솔이는 한동안 그녀들에 대해 생각해 왔다. 그녀를 사랑하거나 질투하거나 동일시하거나 기념한다. 이러한 감정은 단계별로 축적되어 성숙이나 해소와 같은 결말로 달리기보다 한시에 공존한다. 그리고 김솔이는 그녀들의 파편을 기꺼이, 망설이면서, 마지못해, 취한다. 우리는 속절없이 그 장면을 바라볼 수밖에 없다. 

여성에게 부과되거나 여성이라는 필터를 통과하며 부정의 축으로 내몰린 감정들이 있다. 가령 질투는 (못난) 여자가 (잘난) 여자를 향해 갖는 ‘어글리한’ 감정으로 치부되어 그것이 주체가 인식하는 불평등에 대한 정동적 반응이자 이를 적대함으로써 교란하는 무기가 된다는 점이 철저히 망각된다(Sianne Ngai, 2005). 지나치게 ‘감정적’이지만 동시에 그 어떤 감정도 허락된 적이 없는 그녀들. 궁극적으로 그녀들에게는 오로지 굴절된 욕망만이 허락된다. 여성됨이란 자신의 것이 아닌 욕망에 자리를 내어주는, 타인의 에고를 담기 위한 주머니가 되는 것이므로(Andrea Long Chu, 2019). 그런데 여섯 여자는(어쩌면 여성이라 불리는 존재가 으레 그렇듯) 부정과 비어있음 사이를 비집고 등장한다. 그녀들은 자신의 거짓말을 진실로 믿어버리고, 스스로 미끼가 되어 모든 것을 내어주며, 질투에 머물지 않고 가열차게 사냥하며, 속을 토해내듯 사랑을 한다.

조각가, DJ, 모델, 퍼포머 등 다중적 페르소나로 분화되어 활동하던 김솔이는 미술과 패션 양쪽 모두로부터 이러한 의미의 여성됨을 발견한다. 패션은 팔릴만한 욕망을 규명하고, 그것으로 텅 빈 자아를 채워 놓는 정교한 공작이다. 격렬한 플레이 가운데 패션은 실은 배후에 아무런 명분도 없다는 것을 들키지 않으려는 듯 전통과 현대를 가로질러 미술의 실험을 훔쳐 온다. 패션 업계가 선망하는 예술은 급진적이며 순수하다. 하지만 패션은 알까? 미술이 실은 하이앤드 패션 못지않은 욕망덩어리에 불과한 혹은 그보다 못한 것이 될까 봐 전전긍긍한다는 것을. 진정으로 지성을 자극하는 지점에 이르는 것과 지적인 허영에 잠식당하는 것을 구분하지 못할까 봐 두려워하며 차라리 패션을 선망한다는 것을. 서로를 받들어 모시고 동시에 배신하는 그들.

김솔이의 공간은 브랜드의 쇼룸과 미술 전시 모두 다 이거나 양쪽 다 아닌 모호한 상태를 부러 지향한다. 작품을 지지하되 스스로는 투명해야 할, ‘현상학적’ 분석 이상의 의미가 발생할 리 없는 미니멀한 좌대가 진동하고, 주절댄다. 그것은 자격 없는, 얄팍하고 텅 빈 자의 투사. 배반의 서사. 그리고 사랑의 노래. 그것이 또 어떤 빈 자루에 담기게 될 것인지는 누구도 책임질 수 없는바. 다만 경멸이나 호기심의 대상이 된다면, 패션이든 미술이든 그 문법을 배신하여 버림받은 이 사건 또한 여성이기 때문일 것.

 [1] 상속녀 행세를 하며 뉴욕 사교계를 대상으로 무전취식과 절도를 연달아 저지른 안나 소로킨/델비(Anna Sorokin/Delvey). 아테네의 한 아파트에서 보름달을 보기 위해 발코니에 올랐다 실족사한 하이퍼 팝의 선구자인 트랜스 여성 프로듀서 소피(Sophie). 경범죄를 일삼는 가난한 촌뜨기에서 본격적인 조직범이 되어 인생 역전을 시도한 미국 드라마 ‘오자크’의 루스(Ruth). 소년 시절 실종된 남자로 위장한 영화 ‘티탄’의 여주인공 알렉시아(에이드리안)(Alexia/Adrien). 시뮬레이션 게임 속 주인공으로 플레이어에게만 미소녀로 보이는 의문의 생명체 사야(Saya). 그리고 칸예의 여자친구라는 타이틀을 넘어 끊임없이 변모하는 줄리아 폭스(Julia Fox).

*김솔이는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조각가, DJ, 모델, 퍼포머, 밈 콜렉터(Meme collector). 다중의 페르소나로 분화되어 셀프-프로듀싱의 방식으로 서로 협업한다. 몸을 움직여 정서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설치와 조각을 제작하고, 위계에 대한 의문의 일환으로 몸을 움직이지 않고 노래를 튼다. 현장(scene)에 협력, 소속, 유대, 이탈하는 것에 큰 관심을 두고 있고 있으며 발생한 지 얼마 안 된 과도기적인 상태를 관찰하고 포착하는 것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

There they are - six women.[1] They lie, metamorphose, throw decoys, get jealous, and willingly betray their loved ones. They are defined as negatives or substitutes and are treated as embodiments of disgusting or trivial emotions. For a while, Sollee Kim has been thinking about them. She loves them, envies them, identifies with them, and commemorates them. These emotions coexist all at once rather than accumulating towards a certain point of maturity or relief. And Kim willingly, hesitatingly, and reluctantly devours their fragments. All we are left to do is watch. 

There are emotions that are more often than not considered female, or deemed negative for being filtered through female subjectivities. Envy, for instance, is labeled as an “ugly” emotion that (unattractive) women feel towards other (beautiful) women while stripped of its significance as an affective indicator of perceived inequality and its potential to disrupt the social reality (Sianne Ngai, 2005). Women - they are so emotional! Yet no real emotion has been granted to them. Ultimately, the only kind of desires permitted to them are distorted ones. To “female” is to yield one’s self to the desires not her own or become a container for the other’s ego (Andrea Long Chu, 2019). However, the six women - or perhaps all subjectivities defined as such - emerge from the crevices of negativity and emptiness. They fall for their own lies, offer themselves as the sacrificial bait, refuse to live in envy and initiate a vigorous chase, and love their guts out.

A sculptor, DJ, model, and performer, Kim is spread thinly across the various fields in multitude of identities, in so doing discovering the femaleness from both fine art and fashion. Fashion identifies desires that are potentially profitable, and packs up the hollow selves with them. In this zealous endeavor, the fashion industry steals from art -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 as if to cover up the self-projected weakness that it carries neither the justification nor bearing in what it does. The fashion industry puts art on a pedestal - it is radical and pure. But is the industry aware that art, in effect, is somewhat of a bundle of desires much like high fashion, or perhaps even less, which is why it is constantly paranoid? Or that art is petrified by the prospect of losing its true intellectual virtue to mere vanity, which leads it to rather admire fashion? In an endless loop of adoration and betrayal they unfold… 

The space where Kim’s event takes place is purposefully neither a brand’s showroom nor an art exhibition. Neither or all, stuck in ambiguity. The minimal structures at view are supposed to support the artwork yet remain transparent, attracting no meaningful interpretation except for the account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Yet they dare vibrate and babble on. A prey to projection of the undeserving, superficial, and hollow ones. Grounds for narratives of betrayal. Yet a hymn of love. No one will claim responsibility to which empty carrier it will end up in. If this event were to become an object of contempt or curiosity, its being female - for misleading fashion and art, and being forsaken by both - should take the credit.   

[1] Anna Sorokin/Delvey, who posed as an heiress and defrauded New York's high society; Sophie, a transgender female producer and a pioneer of hyper pop who fell from a balcony while trying to see the full moon from an apartment in Athens; Ruth, a character from the American drama series Ozark, who started as a petty criminal in a poor village and became a full-fledged organized criminal, attempting to better her life; Alexia/Adrien, the female protagonist of the movie Titan who disguised herself as a boy who was reported missing; Saya, a character from a game and a mysterious life form that only appears as a pretty girl to players; Julia Fox, who constantly transforms herself beyond the public personage as Kanye's girlfriend.

*Sollee Kim. Sculptor, DJ, model, performer, and meme-collector based in Seoul. Multitude of personas collaborate with one another by means of self-producing. Kim’s sculptural practice i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affect via moving her body, while playing music with her body still at times as a way of interrogating pre-existing hierarchies. Intrigued by the scene(s) and how collisions, affiliation, solidarity, and withdrawal operate within it, Kim attempts to explore and capture the immaturity in transitional states. 

Previous
Previous

Gwon × Kwon: Love Death Dog

Next
Next

Kim Beom: How to become a r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