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mi Park: Pink
29 August - 21 September, 2025
YPC SPACE, Seoul
콘페티, 가지고 있던, 건네받은, 종이와 흑연과 잉크와 먼지가 얽힌 섬유질, 정보 덩어리, 그것을 파쇄한 색색의 부스러기, 단 한 조각으로는 그 어떤 것도 의미할 수 없으려나, 파쇄되어 의미망으로부터 영영 탈락되고 만 것은, 그것은 수 시간의, 여러 쌍의 손으로, 도미노를 쌓는 것 같은 정성과 염원으로, 조금씩 이어 붙어 어떤 무늬가 되고, 길이 되고, 심지어는 그림이 되고, 심지어 아름다울지도 모르겠으나, 아니, 차라리 “비르윤(희미한 반짝거림; Deborah Bird Rose)” 같은 것이 될 수도 있을 테고, 접착제로 고정되지 않은 채, 카펫과의 최소한의 마찰로 겨우 서로 붙들려 있을 뿐이라, 열린 창에서 들어온 바람에, 예상치 못한 웃음과 콧바람에, 흐트러지고, 탈선하고, 기꺼이 밟히고, 신발에 쓸려 외출하고, 이전의 모습을 도저히 되찾을 수 없을지라도, 흩어져야 다시 만날 수 있으므로, 어린아이가 가장 잘 이해하는 세우고 무너뜨리는 게임 한 가운데로, 완성이란 그것이 기어이 조금씩 낡아 무너지기 시작한 바로 직전의 상태에 다름 아니므로, 절정을 다 한 식물 주위로 흩어진 꽃잎은, 작은 곤충과 미생물과 곰팡이의 자양분이 되어 땅을 비옥하게 다시 우리 숨으로 돌아올 테니, 분해의 과정은 상실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에너지가 방출되는 국면이므로(후지하라 다쓰시), 파티 다음 날의 너저분한 흔적은 슬프지만 그 다음의 해가 떠오른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렇게 우리 모두가 이 조각을 하나 둘 아니 샐 수 없이 많이 가지고 또 가져, 우리의 출신도 생각도 생김새도 가는 길도 다르지만 우리를 우리로 만들어버려, “나는 네 엄마고 또한 네 딸이며, 너는 내 딸이며 또한 내 엄마이기도”(김보영) 한 것을 어렴풋이 이해한 우리는, 가장 작은 세계가 또한 가장 큰 세계이고, 작은 점 하나 그것은 고정된 입자가 아니라 겹겹의 파동이 접힌 우주이고, 거대한 이 행성은 진공 위를 스치는 요동에 불과다는 것을, 그것을 용기 삼기로 했으니, Pink는 불완전하기에 완벽할 테니, 이곳에서는 아무것도 살 수 없지만 모든 걸 가질 수 있으므로, 처음과 끝이 같을 수 없다는 점에 낙담하지 말고, 원한다면 이 바닥에 드러누워, 우주에 뛰어들어, 그때 당신을 잠 못 들게 하던, 끊임없이 앞으로 달리도록 내몰던 흐름은 잠시 힘을 잃을테니, 파괴에, 그리고 에너지의 재배치에, 그 영원한 미완성에 참여하기로,
confetti, what was once held, what was handed over, fibrous matter, entangled with paper and graphite and ink and dust, heaps of information, shredded into colored fragments that on their own may mean nothing at all, expelled from the net of meaning, yet through hours and hours, through many pairs of hands, with the patience and desire of stacking dominoes, slowly joined to become a pattern, a path, perhaps even a painting, perhaps even something beautiful, or rather something like bir’yun, or brilliance (Deborah Bird Rose), unfixed by any adhesive, held only by the barest friction with the carpet, scattering in the wind from an open window, at an unexpected laugh or breath, derailing, gladly trampled, dragged out on shoes, never to return to what it was, but built only to be toppled, broken away so it may meet again, like the game of building and knocking down that a child understands best, completion being nothing other than the state just before it begins to fray and collapse, petals strewn around a plant past its peak becoming food for insects and microbes and fungi, enriching the soil, returning to our breath, decomposition not only loss but a phase where another energy is released (Fujihara Tatsushi), the mess after a party sad but pointing to the next day’s sunrise, and so we all take these fragments one or two or countless more, with origins and thoughts and appearances and paths all different, yet making us what we are, dimly understanding that “I am your mother and also your daughter, you are my daughter and also my mother” (Bo-young Kim), the smallest world also the largest, the smallest dot no fixed particle but a folded universe of waves, this vast planet nothing but a tremor sliding across the vacuum, and so we take courage, that Pink will be perfect in its imperfection, wavering between sincerity and doubt, that here nothing may be bought yet everything can be had, that beginning and end cannot be the same so do not despair, that you may lie flat upon this floor and leap into the cosmos, and the the current that kept you awake through the night, that ceaseless push to keep running forward will, for a moment, lose its force, to destruction, to the redistribution of energy, to the eternal unfinishedness, we give ourselves



